요즘 40, 50대 여성 자격증 추천으로 많이 떠오르고 있는 아동한자지도사에 대해 많은 관심이 생기고 있습니다.
어린아이들이 한자를 이해하고 습득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활동을 하는 직업인데요. 아동한자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한자 학습을 흥미로운 다양한 활동을 통해 아이들의 학습 관심을 유도하여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아동한자지도사 자격증 시험은 언제 있고 자격증 취득을 위한 강의 수강신청은 어디서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동한자지도사 자격증 취득하기
아동한자지도사는 언어학이나 교육학을 전공해야 할 수 있는것은 아니고 누구든지 공부를 하면 자격증을 취득하고 할 수 있는 직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요즘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한자를 배우고 익히는데 힘을 씁니다. 한자를 접하기 시작할 때 보다 긍정적이고 재미있는 방법을 통해 배우는 것이 중요한데, 교육현장에서 직접 전문적으로 역할을 수행합니다.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문적인 교육을 먼저 받아야 하는데요.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는 곳이 많은데 그중 유명한 사이트를 링크하겠습니다.
아동한자지도사 인터넷강의 (180일)
아동한자지도사 자격시험 동영상강의 (수강기간 180일) 한자교육진흥회 · 대한검정회 아동한자지도사 자격시험 통합강의 강의대상자 : 만 20세 이상 성인 / 한자 1,000자 이상의 숙지자 / 한자 1,000
www.edumelang.co.kr
인터넷강의를 통해 공부하여 시험을 보시면 되겠습니다. 인터넷 강의 뿐만 아니라 관련 도서를 구매하여 공부한 후에 기출문제를 풀어보면서 모의고사처럼 실전 경험을 쌓고 도전을 해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한국한자실력평가원에서 제공하는 기출문제 링크도 같이 첨부합니다.
https://web.hanja114.org/common/intro/boardFileList.do
한국한자실력평가원
web.hanja114.org
기출문제를 반복적으로 풀어보면 막막하게 어려울것만 같았던 시험도 쉽게 느껴지실 겁니다.
한자 전문지도사 시험 일정
2024년 시험은 5월 25일(토), 8월 24일(토), 11월 23일(토)에 있고 자세한 정보는 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여기에 시험시간은 몇 시에 진행이 되고 언제까지 입실하여야 하는지도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응시료는 10만 원이고 최초 1회 자격증 발급비는 무료입니다. 응시 자격은 만 18세 이상만 접수가 가능합니다. 지도사도 아동지도사급, 지도사 2급, 지도사 1급, 훈장 2급, 훈장 1급, 훈장 특급으로 나뉘는데 아동지도사는 한자의 기본적 지식을 전수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한자문화의 본질을 인식하고 있는지, 한자 지도의 전문교과를 숙지하고 있는지, 사후관리 능력, 교수 학습 능력을 평가합니다. 출제 내용과 문항수는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나와있습니다.
https://www.hanja.ne.kr/info/info04.asp
:::::대한검정회:::::
지도사 2급 한자ㆍ한문의 기초적 지식을 전수할 수 있는 능력을 검정하는 단계로써 한자문화의 본질적 가치를 바르게 인식하고 있는지, 기초한문교육론Ⅰ, 한자ㆍ한자어 활용Ⅰ, 사자소학지도
www.hanja.ne.kr
아동한자지도사는 학습자의 발전과 성취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동시에 자아 존중과 긍정적인 성장을 촉진하는데 역할을 수행합니다. 아이들이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학습 역량을 습득하고 긍정적인 학습 경험을 통해 자신감을 키우며 더 나은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멋진 직업입니다. 꼭 도전해 보시기 바랍니다.
자격증 취득 후 일자리
가장 일반적인 경로는 학교나 학원에서 아동한자 교사로 일하는 것입니다. 학생들에게 한자를 가르치고 지원하는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합니다. 개인 튜터링이나 작은 그룹에게 한자를 가르치는 일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보다 개별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 학습 필요에 더욱 집중할 수 있습니다. 교육기관이나 단체에서 교육 컨설턴트로 일 할 수 있습니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리소스 제작, 교육정책 개선등 다양한 영역에 조언하고 지원합니다. 교육 자료나 교재를 개발할 수 있고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서 강사로 일할 수 있습니다. 교육 관련 NGO 혹은 비영리 단체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